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초기 투자나 장기 계약 없이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원할 때 언제든지 (on-demand)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내는 서비스
장점
1. 초기 선투자 비용 없음
2. 운영 비용 절감
- on premise 방식으로는 간과하기 쉬운 전기세나 항온항습 비용 등이 소모되지만, 클라우드로는 이 모든 것들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운영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존재
3. 탄력적인 운영 및 확장
- AWS에서는 프로그램 코드로 필요한 자원을 자동 증설 및 감소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최적의 성능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음
4. 속도와 민첩성
- On-premise 방식으로 직접 서버를 구축하면 실패의 비용이 높으며 혁신 속도가 느려지지만, 클라우드로는 수 분 내에 인프라 준비가 완료되기 때문에 혁신을 위한시도를 많이 할 수 있고 실패의 비용이 낮다.
5. 비즈니스에만 집중 가능
- AWS가 데이터 센터부터 케이블 연결, 서버 관리, 네트워킹, 보안 관리 등을 모두 대신 관리해주기 때문에, 앞으로 더이상 인간이 신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구성하거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전략적이지 않은 영역들을 신경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즉, 이 모든 것들을 AWS에 맡기고 생산적인 비즈니스에만 오직 집중이 가능하게 된다!
6. 글로벌 확장
- 전 세계 어디라도 수 분 내 확장하여 서비스 구축 가능
AWS의 장점
1. 10년 이상의 축적된 경험
2. 폭 넓고 깊이 있는 서비스 포트폴리오
3. 빠르고 지속적인 혁신 속도
4. AWS 글로벌 인프라

- 리전(region) : AWS 서비스가 운영되는 지역으로, 복수개의 데이터 센터들의 집합
- 가용 영역 (AZ)는 리전 내 위치한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들로 각각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고가용성/이중화 구성의 기본 요소가 됨 (병렬 처리)
- 엣지 로케이션: CloudFront 같은 엣지 서비스의 캐시 서버(POP)가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
https://health.aws.amazon.com/health/status
https://health.aws.amazon.com/health/status
health.aws.amazon.com
위 사이트에서 현재 각 region 내 AWS의 health 상태를 체크할 수 있음!
5. amazon의 가격 철학
- 62번의 자발적인 가격 인하
6. 가장 넓고 많은 파트너 생태계
- 수 만의 파트너사 및 3,800개 이상 마켓플레이스 제품
AWS 소개

- 위 중에서 필요한 만큼 원하는 서비스를 골라서 레고처럼 조합하여 나만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개념
AWS service의 3대장은 다음과 같다.
1) Amazon EC2 : 가상 서버 서비스 (Elastic Compute Cloud)
- virtual machine을 제공해줌
- 재구성이 가능한 컴퓨터 리소스
- 쉽게 확장/축소되는 컴퓨팅 용량
- 고객 업무 영역에 따른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 제공
- 사용한 만큼만 과금 (pay-as-you-go)
2) Amazon S3 : 무제한 객체 스토리지 (Simple Storage Servicce)
- 객체 기반의 무제한 파일 저장 스토리지 ex) 이미지, 비디오, 파일, 스냅샷 등을 저장
- URL을 통해 손쉽게 파일 공유 가능
- 99.99999999999%의 내구성
- 사용한 만큼만 지불 (GB 당 과금)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가능
3) Amazon RDS : managed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완전 관리형 관계형 DB 서비스
- 다양한 DB 엔진 제공 ex) PostgreSQL, amazon aurora, mySQL, mariaDB, oracle, SQL server

AWS 사용 사례
1. 디스패치
- 문제점?
- 특종 기사가 올라왔을 때 트래픽 처리가 어려움
- 기존 데이터센터(IDC)에서는 트래픽 최고치 기준으로 요금이 책정되어 불합리
-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운영이 중요하였음
- AWS를 사용한다면?
- 서버 부하 문제 해결 및 확장성 확보 (auto scaling 활용; 초당 11,500 request 대응)
- 서버/인프라 비용 절감
- 개발 및 이전 시간 단축
- 웹 사이트 성능 향상
2. 미미박스(스타트업)
- AWS를 사용한다면?
- 낮은 초기 투자 비용
- 손쉬운 글로벌 서비스 진출
- 다양한 요금 옵션
- 보안
- 적은 인원으로 빠른 개발과 배포가 가능
- 데이터 인프라 운영 관리 인원 없이 AWS의 완전 관리형 분석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사이언스 팀을 운영
3. 나스닥

4. 백엔드

5. AI, chatbot

AWS 계정 생성하는 방법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Amazon Bedrock은 주요 AI 기업의 고성능 FM 옵션을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기반 인프라를 관리하지 않고도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Amazon
aws.amazon.com

먼저 위 사이트에 들어가서 aws 계정 생성 버튼을 클릭


MFA 설정 (Multi-factor Authentication)
- 2단계 인증을 하여 보안 체계를 하나 더 두는 작업으로, 해킹을 당해 AWS 이용 요금이 과금이 나오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실상 필수로 설정해야 하는 작업이다.
- 다양한 MFA 설정 툴들이 있지만, 나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google authenticator를 이용함

IAM 을 검색하여 대시보드로 들어가면, 우측에 MFA를 등록할 수 있는 보안 자격 증명 부분이 나온다.

MFA 할당 클릭

나는 google authentification 앱을 사용할 거라 인증 관리자 앱을 선택했지만, 자유롭게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그 후 실제 authentification app으로 인증을 완료하면 MFA 설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면 이제 AWS를 이용할 준비가 끝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가상 서버 만드는 방법 - EC2 (Elastic Compute Cloud) (0) | 2025.03.28 |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초기 투자나 장기 계약 없이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원할 때 언제든지 (on-demand)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내는 서비스
장점
1. 초기 선투자 비용 없음
2. 운영 비용 절감
- on premise 방식으로는 간과하기 쉬운 전기세나 항온항습 비용 등이 소모되지만, 클라우드로는 이 모든 것들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운영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존재
3. 탄력적인 운영 및 확장
- AWS에서는 프로그램 코드로 필요한 자원을 자동 증설 및 감소할 수 있어 비용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최적의 성능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음
4. 속도와 민첩성
- On-premise 방식으로 직접 서버를 구축하면 실패의 비용이 높으며 혁신 속도가 느려지지만, 클라우드로는 수 분 내에 인프라 준비가 완료되기 때문에 혁신을 위한시도를 많이 할 수 있고 실패의 비용이 낮다.
5. 비즈니스에만 집중 가능
- AWS가 데이터 센터부터 케이블 연결, 서버 관리, 네트워킹, 보안 관리 등을 모두 대신 관리해주기 때문에, 앞으로 더이상 인간이 신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구성하거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전략적이지 않은 영역들을 신경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즉, 이 모든 것들을 AWS에 맡기고 생산적인 비즈니스에만 오직 집중이 가능하게 된다!
6. 글로벌 확장
- 전 세계 어디라도 수 분 내 확장하여 서비스 구축 가능
AWS의 장점
1. 10년 이상의 축적된 경험
2. 폭 넓고 깊이 있는 서비스 포트폴리오
3. 빠르고 지속적인 혁신 속도
4. AWS 글로벌 인프라

- 리전(region) : AWS 서비스가 운영되는 지역으로, 복수개의 데이터 센터들의 집합
- 가용 영역 (AZ)는 리전 내 위치한 복수 개의 데이터 센터들로 각각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고가용성/이중화 구성의 기본 요소가 됨 (병렬 처리)
- 엣지 로케이션: CloudFront 같은 엣지 서비스의 캐시 서버(POP)가 운영되는 데이터 센터
https://health.aws.amazon.com/health/status
https://health.aws.amazon.com/health/status
health.aws.amazon.com
위 사이트에서 현재 각 region 내 AWS의 health 상태를 체크할 수 있음!
5. amazon의 가격 철학
- 62번의 자발적인 가격 인하
6. 가장 넓고 많은 파트너 생태계
- 수 만의 파트너사 및 3,800개 이상 마켓플레이스 제품
AWS 소개

- 위 중에서 필요한 만큼 원하는 서비스를 골라서 레고처럼 조합하여 나만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개념
AWS service의 3대장은 다음과 같다.
1) Amazon EC2 : 가상 서버 서비스 (Elastic Compute Cloud)
- virtual machine을 제공해줌
- 재구성이 가능한 컴퓨터 리소스
- 쉽게 확장/축소되는 컴퓨팅 용량
- 고객 업무 영역에 따른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 제공
- 사용한 만큼만 과금 (pay-as-you-go)
2) Amazon S3 : 무제한 객체 스토리지 (Simple Storage Servicce)
- 객체 기반의 무제한 파일 저장 스토리지 ex) 이미지, 비디오, 파일, 스냅샷 등을 저장
- URL을 통해 손쉽게 파일 공유 가능
- 99.99999999999%의 내구성
- 사용한 만큼만 지불 (GB 당 과금)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가능
3) Amazon RDS : managed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완전 관리형 관계형 DB 서비스
- 다양한 DB 엔진 제공 ex) PostgreSQL, amazon aurora, mySQL, mariaDB, oracle, SQL server

AWS 사용 사례
1. 디스패치
- 문제점?
- 특종 기사가 올라왔을 때 트래픽 처리가 어려움
- 기존 데이터센터(IDC)에서는 트래픽 최고치 기준으로 요금이 책정되어 불합리
-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운영이 중요하였음
- AWS를 사용한다면?
- 서버 부하 문제 해결 및 확장성 확보 (auto scaling 활용; 초당 11,500 request 대응)
- 서버/인프라 비용 절감
- 개발 및 이전 시간 단축
- 웹 사이트 성능 향상
2. 미미박스(스타트업)
- AWS를 사용한다면?
- 낮은 초기 투자 비용
- 손쉬운 글로벌 서비스 진출
- 다양한 요금 옵션
- 보안
- 적은 인원으로 빠른 개발과 배포가 가능
- 데이터 인프라 운영 관리 인원 없이 AWS의 완전 관리형 분석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사이언스 팀을 운영
3. 나스닥

4. 백엔드

5. AI, chatbot

AWS 계정 생성하는 방법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Amazon Bedrock은 주요 AI 기업의 고성능 FM 옵션을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입니다. 기반 인프라를 관리하지 않고도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Amazon
aws.amazon.com

먼저 위 사이트에 들어가서 aws 계정 생성 버튼을 클릭


MFA 설정 (Multi-factor Authentication)
- 2단계 인증을 하여 보안 체계를 하나 더 두는 작업으로, 해킹을 당해 AWS 이용 요금이 과금이 나오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실상 필수로 설정해야 하는 작업이다.
- 다양한 MFA 설정 툴들이 있지만, 나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google authenticator를 이용함

IAM 을 검색하여 대시보드로 들어가면, 우측에 MFA를 등록할 수 있는 보안 자격 증명 부분이 나온다.

MFA 할당 클릭

나는 google authentification 앱을 사용할 거라 인증 관리자 앱을 선택했지만, 자유롭게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그 후 실제 authentification app으로 인증을 완료하면 MFA 설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면 이제 AWS를 이용할 준비가 끝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가상 서버 만드는 방법 - EC2 (Elastic Compute Cloud) (0) | 2025.03.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