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환경 : VMware / Ubuntu 22.04
우분투에서 작업하다가 갑자기 네트워크가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확인해보니 집 와이파이나 다른 기기에서는 잘 연결이 되어있는데 가상머신 속 우분투에서만 네트워크 연결 오류가 나는 경우를 마주했다.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virtual network editor에서 restore default를 실행하여 초기화하고 재부팅했더니 성공했음.
방법 1. 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확인


Virtual machine(vmware) > settings > network 탭 > network adapter로 진입하여 어댑터가 NAT 또는 bridged adapter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NAT: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에 적합 / Bridged adapter : VM이 실제 물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처럼 동작)
가장 기본적으로 확인해야할 부분이라 적어놓긴 했는데, 사실상 이걸로 해결될 가능성은 적은게, 애초에 잘 세팅해놓고 잘 작동하고 있던 가상머신이 혼자 다운되었는데 기존의 설정이 문제일리가 만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로 두 번째 방법으로 이동
방법 2. 각종 연결 확인

2-1. 인터넷 연결 확인
ping -c 4 8.8.8.8
이는 DNS 없이도 되는 google DNS 서버 ping인데, 이것 조차 실패하면 인터넷 자체가 안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성공한다면 DNS 문제이다.
그런데 일단 나는 위 사진처럼 network is unreachable 인 상태이므로 인터넷 자체가 안되는 상황
참고로 현재 인터넷이 안되기 때문에 sudo apt update 같은 명령어도 전혀 먹히지 않는다.
2-2. 네트워크 장치 인식 확인
ip a
무선랜(와이파이) 장치가 wlan0, wlp3s0 같은 이름으로 뜨는지 확인해보고, 만약에 뜨지 않는다면 드라이버 문제일 수도 있다.
nmcli device
위 명령을 통해서는 wifi 장치가 존재하고 connected 상태인지 확인해보고, 만약 disconnected이면 nmcli device wifi list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수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2-3. 네트워크 다시 초기화

그러나 위 사진처럼 모두 수행해봤지만 ens33(이더넷 장치) 상태가 unavailable이고, wifi list를 출력해봐도 아무 것도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정한 원인으로는 vmware는 기본적으로 host OS (windows)의 유선 이더넷 카드만 에뮬레이션 하여 vm 내부에서는 와이파이를 직접 감지할 수 없는데, 지금 우분투에서 ens33(가상 이더넷 어댑터)조차 인식은 되지만 연결이 끊겨 (unavailable) 인터넷을 못 쓰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구글링 해보니 가끔 VMware NAT 설정 자체가 꼬이는 경우가 있다고 하여 수동 초기화를 진행하고 재부팅했는데, 이 방법으로 성공하였다~
방법 3. VMware NAT 네트워크 재설정 (해결)

먼저 edit 탭의 virtual network editor에 진입

여기서 VMnet8을 선택하고 우측 하단의 change settings 클릭 (관리자 권한이 필요함)

여기서 VMnet8 (NAT용 네트워크) 선택하여 좌측 하단의 "Restore default" 클릭
그러면 그동안 커스텀했던 네트워크 설정이 모두 초기화된다.
이후 저장한 뒤 VMware를 재실행한 뒤 가상머신을 켜보면 자동으로 적용이 되어서 인터넷이 잘 실행될 것이다!
만약 그래도 안된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네트워크를 재활성화해보자.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sudo dhclient ens33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드림핵 phpreg 문제 풀이 : 정규표현식 활용 (0) | 2024.12.20 |
---|---|
[Ubuntu] 드림핵 blue-whale 문제 풀이 : dive 툴 설치 및 사용 방법 (0) | 2024.12.20 |
[Linux] 드림핵 Baby-linux 문제 풀이 (0) | 2024.12.15 |
[Linux] crontab 만드는 방법 및 옵션 정리 (0) | 2024.12.03 |
[Linux] 서버 운영 보안 요소 - forkbomb, 레인보우 테이블과 Salt, 패스워드 크래킹, File system destruction (0) | 2024.11.21 |
작업 환경 : VMware / Ubuntu 22.04
우분투에서 작업하다가 갑자기 네트워크가 안되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확인해보니 집 와이파이나 다른 기기에서는 잘 연결이 되어있는데 가상머신 속 우분투에서만 네트워크 연결 오류가 나는 경우를 마주했다.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virtual network editor에서 restore default를 실행하여 초기화하고 재부팅했더니 성공했음.
방법 1. 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확인


Virtual machine(vmware) > settings > network 탭 > network adapter로 진입하여 어댑터가 NAT 또는 bridged adapter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NAT: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에 적합 / Bridged adapter : VM이 실제 물리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처럼 동작)
가장 기본적으로 확인해야할 부분이라 적어놓긴 했는데, 사실상 이걸로 해결될 가능성은 적은게, 애초에 잘 세팅해놓고 잘 작동하고 있던 가상머신이 혼자 다운되었는데 기존의 설정이 문제일리가 만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로 두 번째 방법으로 이동
방법 2. 각종 연결 확인

2-1. 인터넷 연결 확인
ping -c 4 8.8.8.8
이는 DNS 없이도 되는 google DNS 서버 ping인데, 이것 조차 실패하면 인터넷 자체가 안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고, 성공한다면 DNS 문제이다.
그런데 일단 나는 위 사진처럼 network is unreachable 인 상태이므로 인터넷 자체가 안되는 상황
참고로 현재 인터넷이 안되기 때문에 sudo apt update 같은 명령어도 전혀 먹히지 않는다.
2-2. 네트워크 장치 인식 확인
ip a
무선랜(와이파이) 장치가 wlan0, wlp3s0 같은 이름으로 뜨는지 확인해보고, 만약에 뜨지 않는다면 드라이버 문제일 수도 있다.
nmcli device
위 명령을 통해서는 wifi 장치가 존재하고 connected 상태인지 확인해보고, 만약 disconnected이면 nmcli device wifi list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수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2-3. 네트워크 다시 초기화

그러나 위 사진처럼 모두 수행해봤지만 ens33(이더넷 장치) 상태가 unavailable이고, wifi list를 출력해봐도 아무 것도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정한 원인으로는 vmware는 기본적으로 host OS (windows)의 유선 이더넷 카드만 에뮬레이션 하여 vm 내부에서는 와이파이를 직접 감지할 수 없는데, 지금 우분투에서 ens33(가상 이더넷 어댑터)조차 인식은 되지만 연결이 끊겨 (unavailable) 인터넷을 못 쓰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구글링 해보니 가끔 VMware NAT 설정 자체가 꼬이는 경우가 있다고 하여 수동 초기화를 진행하고 재부팅했는데, 이 방법으로 성공하였다~
방법 3. VMware NAT 네트워크 재설정 (해결)

먼저 edit 탭의 virtual network editor에 진입

여기서 VMnet8을 선택하고 우측 하단의 change settings 클릭 (관리자 권한이 필요함)

여기서 VMnet8 (NAT용 네트워크) 선택하여 좌측 하단의 "Restore default" 클릭
그러면 그동안 커스텀했던 네트워크 설정이 모두 초기화된다.
이후 저장한 뒤 VMware를 재실행한 뒤 가상머신을 켜보면 자동으로 적용이 되어서 인터넷이 잘 실행될 것이다!
만약 그래도 안된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네트워크를 재활성화해보자.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sudo dhclient ens33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드림핵 phpreg 문제 풀이 : 정규표현식 활용 (0) | 2024.12.20 |
---|---|
[Ubuntu] 드림핵 blue-whale 문제 풀이 : dive 툴 설치 및 사용 방법 (0) | 2024.12.20 |
[Linux] 드림핵 Baby-linux 문제 풀이 (0) | 2024.12.15 |
[Linux] crontab 만드는 방법 및 옵션 정리 (0) | 2024.12.03 |
[Linux] 서버 운영 보안 요소 - forkbomb, 레인보우 테이블과 Salt, 패스워드 크래킹, File system destruction (0) | 2024.11.21 |